이롭게 현명하게

[React] 리액트 시작하기 / 리액트 설치 / 개발환경 본문

웹 개발/React

[React] 리액트 시작하기 / 리액트 설치 / 개발환경

dev_y.h 2023. 12. 15. 18:53
728x90
반응형

※ 본 포스팅은 윈도우11 환경에서 패스트 캠퍼스 강의를 수강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목차

 

작업환경 준비하기

Node.js 설치하기

yarn 설치하기

vscode 설치하기

git for windows 설치하기

리액트 환경설정

 


 

리액트 환경을 설치하는 CRA가 2025년 2월 14일에 종료되었습니다.

npx create-react-app 대신 vite로 설치 원하시는 분들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 주세요.

https://devyihyun.tistory.com/230

 

[React] vite로 리액트 설치하기

목차 create-react-app 지원 종료vite를 사용하는 이유vite 시작하기 [Create-React-App 지원 종료]npx creat-react-app은 리액트를 시작하게 해 준 간편한 도구였다.복잡한 설정 없이도 바로 개발을 시작할 수 있

devyihyun.tistory.com

 


[작업 환경 준비하기]

리액트 개발을 시작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을 준비해야 한다.

설치하기 위해서는 총 3가지를 설치해야 한다.

node.js , yarn , vscode

 

 

Node.js : 브라우저 환경이 아닌 곳에서도 자바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리액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사용하는 도구들로 Webpack, Babel 같은 도구들이 자바스크립트 런타임 node.js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node.js를 설치해야 한다.

 

yarn : 조금 개선된 버전의 npm으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자바스크립트 패키지 매니저 도구로 node.js를 설치하면 npm이라는 도구가 같이 설치된다.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를 설치하고 해당 라이브러리들의 버전 관리를 하게 될 때 사용한다.

yarn을 사용하는 이유는 npm과 비슷한 도구인데 나중에 자바스크립트 패키지를 설치할 때 npm보다 더 빠른 속도로 다운로드할 수 있고, 더 나은 캐싱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해서다.

npm이 이미 설치되어 있고 익숙하다면 yarn을 설치하기 싫다면 하지 않아도 된다.

사용해 보지 않았다면 한 번쯤은 사용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VScode : 에디터 설치 (다른 에디터도 괜찮다.)

 

git for windows : 깃 배쉬가 내장되어 있다. 이것을 사용하면 유닉스 기반 명령어를 윈도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만약 사용하지 않는다면 윈도우에 내장되어 있는 cmd라는 터미널을 사용해야 하는 데 조금 불편하다.

또는 IDE에 있는 터미널을 사용하면 된다.

 


 

[Node.js 설치하기]

https://devyihyun.tistory.com/166

 

[Node.js] Node.js 설치하기 / 노드js 설치하기

[Node.js 설치하기] ※ 본 포스팅은 윈도우 11의 환경에서 진행되었습니다. Node.js 공식 홈페이지 접속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LTS와 Current 버전 중 원하

devyihyun.tistory.com

 

mac OS/linux 경우 nvm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여 node.js를 설치하는 것을 권장한다.

$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reationix/nvm/v0.33.8/install.sh | bash
$ nvm install --lts

 

nvm이라는 도구를 사용하면 나중에 노드 js의 버전이 바뀔 때 업데이트 하기 쉽고 다운그레이드하는 것 또한 쉽다.

설치하는 것도 간단하다.

$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reationix/nvm/v0.33.8/install.sh | bash 이 명령어를 터미널에서 실행을 한 후 

nvm 설치가 끝난 후 터미널 종료 후 다시 열어 $ nvm install --lts 입력하면 설치가 된다.

 


[yarn 설치하기]

https://devyihyun.tistory.com/167

 

[yarn] yarn 설치하기

[Node.js 설치] yarn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node.js를 설치해야한다. 단축키 윈도우 + Q를 눌려 cmd를 실행한다. node -v 명령어를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른다. 결과가 다음과 같이 버전이 나온다면 설치가

devyihyun.tistory.com

 


[vscode 설치]

 

https://devyihyun.tistory.com/15

 

[VSCODE] VSCODE 설치 / Visual Studio Code 설치하기

목차 VSCODE 설치 VSCODE 환경설정 (한글설정) 번외 [ VSCODE 설치 ] 1. 홈페이지 접속 2. 본인의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 클릭 저는 window운영체제로 설치하였습니다. 2. 설치 파일 클릭 후 동의합니다

devyihyun.tistory.com

 


[Git for winodows 설치] 

깃 배쉬 설치하기

https://devyihyun.tistory.com/24

 

[Git] Git 설치하기 / Git 설치 / Git 2.38.1 설치

[깃 설치하기] ※ 본 포스팅은 윈도우11의 환경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디폴트(기본값)로 설치를 원한다면 모두 Next 또는 중간에 Git의 기본 편집기를 선택 후 모두 Next 명령 프롬프트 (window)/Terminal(M

devyihyun.tistory.com

 

IDE에 있는 터미널을 사용해도 됩니다.

저는 vscode에 있는 터미널을 사용합니다.

vscode 상단에 View > Terminal (보기> 터미널)을 클릭하면 vscode 내부에서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액트 환경설정]

프로젝트를 진행할 폴더에 윈도우 깃 배쉬를 열어준다.

 

 

node.js와 yarn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명령어를 입력한다.

$ node -v
$ yarn -v

 

이때 만약 yarn 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yarn을 삭제하고 다시 재설치를 해봐야 한다.

또는 npm을 사용해도 된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 때 명령어와 프로젝트 이름을 입력한다.

$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 이름

 

 

저는 프로젝트 이름을 react-tutorial로 했습니다.

 

명령어를 입력 후 기다리면 react-tutorial이라는 디렉터리가 만들어진다.

 

vscode에서 방금 만든 디렉터리를 열어준다.

vscode에 있는 explorer에서 Open Folder 버튼을 클릭

 

만들어둔 디렉터리를 선택 후 폴더 선택 버튼 클릭

프로젝트가 잘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깃 배쉬에서 만들어진 프로젝트 디렉터리로 이동한다.

 

명령어 yarn start를 입력한다. 만약 yarn이 설치가 되어있지 않거나 제대로 설치가 안 됐다면 npm start라고 입력해도 된다.

$ yarn start

 

허용 클릭

 

리액트 로고가 회전하는 브라우저 화면을 볼 수 있다. 

리트 프로젝트 생성이 끝났다. 

 

리액트 개발 서버가 실행되었다.

vscode에서 html을 수정한다면

 

브라우저 화면이 바뀐 것을 볼 수 있다.

 

 

vscode 내부에서 터미널을 띄울 수 있다.

컨트롤 + c를 누르면 깃 배쉬에서 실행되던 서버는 꺼진다.

 

vscode 상단에 View > Terminal (보기> 터미널)을 클릭하면 vscode 내부에서 터미널을 사용할 수 있다.

 

터미널에 yarn start를 입력한다.

 

리액트 서버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https://devyihyun.tistory.com/237

 

[React] 리액트 폴더 구조

목차리액트 기본 폴더 및 파일src 내부 폴더 구조[번외] package.json [리액트 기본 폴더 및 파일]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관리해야 할 파일들이 늘어난다.파일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하기 때문

devyihyun.tistory.com

 

 


잘못된 정보는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과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728x90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