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IT기술 (72)
이롭게 현명하게
목차 Git Pages리액트 Git Pages깃허브를 이용한 웹 호스팅 웹 개발 포트폴리오를 만들면서 포트폴리오에 적용해서 보이고 싶었다.깃에 웹 호스팅이 가능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알고 있는 것을 바탕으로 호스팅을 하니 index.html을 찾지 못해 404 Page(File) not found를 보게 되었다.index.html은 있지만 찾아보니 리액트의 폴더구조에서 index.html을 찾지 못한 것이 이유였다.그래서 npm build를 사용해주어야 한다. [Git Pages] 깃허브에서 새로운 레퍼지토리(repository)를 만든다. 이때 리퍼지토리 이름은 깃아이디.github.io로 입력한다.※ 이때 깃아이디가 아닌 다른 이름을 넣게 되면 호스팅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 그러니 꼭!! 깃 ..
※ 리액트로 만든 프로젝트 호스팅 하는 방법 / Git Pages 만드는 방법[바로가기] ※ 본 포스팅에서의 프로젝트는 html, css, js로 만든 프로젝트 기준입니다. 자바스크립트로 토이프로젝트를 진행 후 웹을 호스팅 하고 싶었다.하지만 간단한 토이프로젝트를 카페24를 통해 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는 호스팅 하고 싶지는 않았다.그러다 깃에서도 호스팅이 가능하다는것을 알게 되었다.이때 깃 리퍼지토리의 공개설정은 public 이여야 하며 파일명은 index.html 이여야 한다.html 파일 명 : index.html공개설정 : public 호스팅 할 리퍼지토리에서 Settings를 클릭 pages클릭 branch를 master로 변경 후 save 클 https://dev-yihyun.github...
깃허브를 사용하다 공개로 해두었던 리포지토리를 비공개로 바꾸고 싶어 졌다. 공개/비공개로 바꾸고 싶은 repository에서 settings 클릭 아래로 스크롤을 내려 Danger Zone을 확인한다. Danger Zone에서 Change repository visibility의 Change visibility를 클릭 Change to private 클릭 I want to make this repository private 클릭 I have read and understand these effects 클릭 Make this repository private 클릭 password 입 repository가 public에서 private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잘못된 정보는 댓글에 남겨주시면 ..
키보드 자판에 물결표시에 있는 키를 사용한다. ` ` 억음 부호를 사용한다. function A(name){ console.log('Hello, ' + name + '!'); } function B(name){ console.log(`Hello, ${name}`!); } A('JISOO'); B('JISOO');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화살표 함수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let이나 const로 시작한다. const 함수명 = (매개변수) => { //실행할 문장 } //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let이나 const로 시작한다. // example const add = (a,b) =>{ ret devyihyun.tistory.com 잘못된 정보는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
목차 var, let, const란?var 특징let 특징const 특징var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 varletconst중복선언가능금지금지재할당가능가능금지스코프함수 레벨 스코프블록 레벨 스코프블록 레벨 스코프선언/ 초기화 단계선언단계 + 초기화 단계선언단계선언단계 var, let, const 마다 호이스팅이 다르다. 호이스팅과 스코프에 대한 설명은 아래 게시글을 참고하자! https://devyihyun.tistory.com/131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Scope와 hoisting목차 scope 이해하기hoistingvar의 호이스팅let의 호이스팅호이스팅을 피해야 하는 이유 [scope 이해하기]scope : 변수, 함수를 선언할 때 해당 변수 또는 함수가 사용할 수 있는 범위..
목차 px , % em , rem vw , vh vmin , vmax [px , %] px : 해상도에 따른 상대단위 화면에 정확한 픽셀 단위로 절대적으로 고정하는 개념이다. % : 부모 요소의 가로사이즈영향을 받는다. 부모 요소의 영향을 받아서 단위가 완성이 되는것이다. [em , rem] css의 상속과 관련있으며 자식들에게 영향이 가게된다. em : 자기 자신의 폰트 사이즈 크기의 영향을 받는다. font-size가 10px인 width : 600px;를 em으로 변경한다면 width : 60em이다. 부모 font-size가 10px일 때 자식 font-size : 2em 이란 부모 폰트 사이즈의 2배이다.20px의 크기를 가진다. 조상에서부터 영향을 받아오기때문에 유지보수가 힘들다. re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