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IT정보 (75)
이롭게 현명하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AxRe/btr3cb6Y4ds/PxyWyPIMjKBD7n75euVTV1/img.png)
목차 함수란?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파이썬 함수 구조 매개변수와 인수 입력값과 리턴에 따른 함수의 형태 def 함수명(매개변수):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return 결과값 함수명(값1,값2) # 값1,값2는 인수 매개변수 : 함수에 전달된 값을 저장하는 변수 인수 : 함수에 전달하는 값 [함수란?] 학창 시절 아래와 같은 수학문제를 풀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상자에 어떠한 값을 넣으면 어떤 일을 수 행한 다음에 그 결과물이 나오게 된다. 이것이 바로 함수가 하는 일이다.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똑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작성할 때가 있다. 이때가 바로 함수가 필요한 때이다. 반복되는 부분이 있을 경우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가 있는 부분"을 한 뭉치로 묶어서 어떤 입력값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NFVe/btrZIKXP9gg/kOPnCbcLlmXQKIdRp2hUK0/img.png)
목차 변수 (Variable) 변수 여러 개 만들기 변수 삭제 빈 변수 만들기 입력 값을 변수에 저장 두 수의 입력 값을 정수로 저장하기 변수 여러개에 값 입력하기 map을 사용하여 정수로 변환하기 입력받은 값을 콤마 기준으로 분리하기 값을 여러개 출력하기 sep로 값 사이에 문자 넣기 줄 바꿈 활용하기 [변수(Variable)] x=10이라고 입력하면 정수 10이 들어있는 변수 x가 만들어진다. 즉, 변수명 = 값의 형식이다. 변수가 생성되는 동시에 값이 할당(저장) 된다. 변수명은 개발자가 자유롭게 작명해도 된다. 하지만 변수명을 지을때 규칙이 있다. 영문 문자와 숫자를 사용할 수 있다. 대소문자를 구분해야한다. 문자로 시작해야 한다.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_(밑줄, 언더바)로 시작할 수 없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1KmZ/btr3gPtUJRT/scluP51kgnnSU0RTJFpAuk/img.png)
목차 while문 기본 구조 while문 강제로 빠져나가기 while문의 맨 처음으로 돌아가기 무한루프 while 조건문: # 조건문이 True일 경우 무한루프 # 무한루프 일 때 ctrl + c를 눌려 빠져나올 수 있다. 수행할 문장 1 수행할 문장 2 if 조건문: 수행할 문장 4 continue # 반복문 맨 처음으로 돌아가기.아래의 진행을 무시하고 처음으로 돌아간다. if 조건문: 수행할 문장 3 break # 반복문 종료 [while문 기본 구조] 반복해서 문장을 수행해야 할 경우 while문을 사용한다. while문은 조건문이 참인 동안에 while문에 속한 문장들이 반복해서 수행된다. while 조건문: 수행할 문장 1 수행할 문장 2 수행할 문장 3 조건문은 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VN5Y/btr3dEfzspm/4g0k3uKhijuXFeah4kKXt0/img.png)
목차 if문을 사용하는 이유 if문 기본 구조 들여 쓰기 조건문이란? elif 조건부 표현식 if 조건문1: 실행할 문장1 실행할 문장2 실행할 문장3 elif 조건문 : pass # 조건문에서 아무 일도 하지 않게 설정 elif 조건문A: 실행할 문장A 실행할 문장B 실행할 문장C else: 실행할 문장ㄱ 실행할 문장ㄴ 실행할 문장ㄷ [if문을 사용하는 이유] 일상생활에서 상황에 맞게 행동할 때가 있다. 프로그래밍도 마찬가지이다. 프로그래밍도 주어진 조건을 판단한 후에 그 상황에 맞게 처리해야 할 경우가 생긴다. 프로그래밍에서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if문이다. [if문 기본 구조] 조건문을 테스트해서 참이면 if문 다음 문장 if(블록)들을 수행 조건문이 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qKmMZ/btr3az7tf9D/8Hrqs6wHCOYtwaBmhrZuzK/img.png)
목차 변수란? 리스트 복사 변수를 만드는 여러가지 방법 [변수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인 C나 JAVA에서는 변수를 만들 때 자료형의 타입을 직접 지정해야했다. 하지만 파이썬은 변수에 저장된 값을 스스로 판단하여 자료형의 타입을 지정하기 때문에 더 편리하다.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a = 1 b = "문자열" c = [1,2,3] [리스트 복사] 변수 b에 변수 a를 대입한다 변수 b는 변수 a와 완전히 동일한 변수이다. [1,2,3]이라는 리스트 객체를 참조하는 변수가 변수a 1개에서 변수b가 추가되어 2개로 늘어난 것 뿐이다. a = [1,2,3] b = a id 함수를 사용하여 변수의 주소를 알 수 있다. id(a)의 값과 id(b)의 값이 같은 것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JpY3/btr29IDL1XD/UZYDLWzaumMiD04A9d79rk/img.png)
목차 불 자료형이란? 참과 거짓 불 연산 참(True) 거짓(False) "문자열" "" [1,2,3,4] [] (1,2,3,4) () {'a':1} {} 1 0 None bool(값) : bool연산의 결과로 참 거짓을 리턴 [불 자료형이란?] 불(bool) 자료형이란 참(True)와 거짓(False)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다. True - 참 False - 거짓 이 때 파이썬에서는 true,false가 아닌 첫 문자를 항상 대문자로 사용해야한다. 따옴표로 감싸지 않아야한다. a = True b = False 불 자료형은 조건문의 리턴 값으로도 사용된다. print(1 == 1) # True print(2 < 1) # False [참과 거짓] 참 거짓 "문자열" "" [1,2,3,4] [] (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