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방문자수
- 파이썬
- IT기술
- 프로그래밍
- GIT
- 코딩테스트
- 개발일지
- Github
- 블로그일기
- 알고리즘
- JavaScript
- 리액트
- 자바스크립트
- 블로그
- Python
- 자바
- 조회수
- 코딩
- 웹개발
- Java
- 개발공부
- 소스트리
- 깃허브
- 정보처리기사
- sourcetree
- react
- 개발자
- IT정보
- 깃
- 프론트엔드
- Today
- Total
목록 분류 전체보기 (201)
이롭게 현명하게

목차 Component 렌더링 과정 Component 합성 Component 추출 [Component 렌더링 과정] Component는 붕어빵 틀의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화면에는 Component가 렌더링 되지 않는다. Component라는 붕어빵 틀을 통해 찍어 나온 element라는 붕어빵이 실제로 화면에 나오게 된다. 렌더링을 위해 가장 먼저 Component로부터 element를 만들어야한다. const element = ; const element = ; 이 두 코드 모두 React element를 만들어 낸다. 이 element를 렌더링 한다. function Welcome(props){ return 안녕, {props.name}; } const element = ; ReactDOM.r..

리액트는 디버깅이 복잡하여 일반적인 웹페이지를 만들 때처럼 브라우저 개발자 도구를 사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효율적인 디버깅을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 react로 개발 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리액트 디버깅과 개발을 돕기 위한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이다. 컴포넌트 계층 구조 표시 리액트 컴포넌트 계층 구조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컴포넌트의 자식, 부모 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상태와 속성 시각화 개발 중인 컴포넌트의 상태(State)와 속성(Props)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컴포넌트가 어떤 데이터를 받고 어떤 상태를 가지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태 변화 추적 컴포넌트의 상태 변화를 추적하고 디버깅할 수 있다. 컴포넌트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어떤 이벤트에 ..

목차 Element란? React Element와 DOM Element Element 렌더링 과정 [Element란?] Element : 어떤 물체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요소, 성분이라는 뜻이 있다. 마찬가지로 리액트의 Element도 리액트 앱을 구성하는 요소를 의미한다. 리액트 공식 문서에서 Element는 리액트 앱의 가장 작은 빌딩 블록들이라고 한다. 즉, 리액트 앱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블록들을 Element라고 부른다. 웹 개발을 해본 경험이 있다면 Element를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Element는 원래 웹 사이트에 대한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객체인 DOM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그래서 Element라고 하면 DOM Element를 의미했다. 더보기 크롬 브라우저에서 개발자도구(F1..

누적 방문자 수 4만 명 돌파! 3만 명 넘은 건 못 봤다🥲 정신 차리고 보니까 3만 명을 넘은 지 한참 되었던 때였다...ㅠㅠ 벌써 4만 명이라니🤭 새해라 새해 다짐으로 열심히 하겠다는 각오로 방문하는 분들이 많은 거 같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다들 파이팅!!🥰 요즘은 강의를 들으면서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다. 다만 걱정이라면 게시글을 작성할 생각에 이해를 제대로 하지 않고 작성을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해도 제대로 못하고 쫓기듯이 하게 되어 글도 엉망진창이고 순서도 뒤죽박죽이다...😭 다시 초심으로 돌아가서 제대로 작성해 볼 예정이다. 쓸데없는 고민이라면 게시글을 다 지우고 작성을 할지 게시글 내용을 수정할지가 고민이다.🤔 [목표] 초심으로 돌아가서 게시글을 작성하자 T-LOG 목표 달성 ..

목차 useEffect란?import예시 코드정리 [useEffect란?]useEffect는 컴포넌트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된다.Memo는 memoization를 의미한다. 메모리 넣기라는 의미로 컴퓨터 프로그램이 동일한 계산을 반복해야 할 때 이전에 계산한 값을 재사용하는 것을 말한다.동일한 계산의 반복 수행을 제거하여 프로그램 실행속도를 빠르게 하는 기술이다. [import]import React,{useMemo} from "react"; const 변수명 = useMemo(()=>함수명(),[deps]);첫 번째 파라미터 : 함수 형태두 번째 파라미터 : deps배열을 넣어준다.내용이 바뀌면 : 함수를 호출해서 값을 연산내용이 바뀌지 않으면 : 이전에 연산한 값을 재사용 [예시 코드]im..

목차 useEffect란import예시코드정리 [useEffect란]useEffect는 컴포넌트가 마운트 됐을 때 (처음 나타났을 때) , 언마운트 됐을 때 (사라질 때) , 업데이트될 때 (특정 props가 변경될 때) 특정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에 사용한다.마운트 (mount) :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props로 받은 값을 컴포넌트의 로컬 상태로 설정외부 API 요청( REST API 등)라이브러리(ex. D3, video)를 사용할 때setInterval, setTimeout을 사용할 때언마운트 (unmount) : 컴포넌트가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뒷정리 함수setInterval, setTimeout 을 사용하여 등록한 작업들 clear 하기 (clearInterval,claerTime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