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롭게 현명하게

[ㄱ-LOG] 한빛미디어 베타 리딩 참여 후기 / 패턴으로 익히고 설계로 완성하는 리액트 / 리액트 안티패턴 본문

T-LOG/ㄱ-LOG

[ㄱ-LOG] 한빛미디어 베타 리딩 참여 후기 / 패턴으로 익히고 설계로 완성하는 리액트 / 리액트 안티패턴

dev_y.h 2025. 2. 10. 18:58
728x90
반응형

한빛미디어 베타리더 선정


 

목차

베타리딩이란?

참여동기

진행과정

한빛 미디어 베타리딩 후기

책 리뷰

 



[베타리딩이란?]

베타리딩은 출간하기 전의 도서에서 오류를 확인하는 활동을 말한다.

출간하기 전의 도서이므로 원고파일이나 책을 유출해서는 안 된다.

 

[베타리딩을 하는 이유}

  • 베타리딩은 책을 공식적으로 출간하기 전에 독자들이 책을 읽으면서 오류를 찾아내는 역할을 한다.
  • 책에서 필요한 부분과 불필요한 부분, 오류, 책의 난이도 등을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 베타리딩을 통해 책의 부족한 점을 더 보완하여 더 좋은 품질의 책으로 출시할 수 있다.

 

[베타리딩 피드백 가이드]

독자들은 다양한 관점에서 책을 읽는다.

그래서 각자의 시각에서 책의 장단점, 추천과 비추천의 이유, 개인의 생각 등 중요한 피드백의 제공한다.

작성 내용 (체크리스트)

  • 잘 읽히는가?
  • 이해하는데 어려움은 없는가?
  • 용어 선택은 적절한가?
  • 정보 오류
  • 내용 불충분

 

[피드백 및 후기 제출방법]

베타리딩의 원고를 전달받고 10일의 기간 동안 피드백을 남기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피드백>

  • 공유된 pdf 파일에 주석 작성 → 작성 후 이메일로 제출
  • 구글 드라이브에서 주석 작성
  • 다양한 피드백 방식 : 주제별 피드백(내용 부족, 오탈자, 번역 필요 등) 또는 수정 제안 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리뷰가 진행되었다.
  • 자유로운 피드백 : 각자 자신의 방식대로 의견을 남기며 참여했다.

 


[참여동기]

리액트 유지 보수 업무를 수행하면서 디자인 패턴이 유지 보수의 핵심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코드의 구조와 설계가 시스템의 유지 보수와 확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무에서 직접 경험하며 디자인 패턴을 통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기회가 부족해 더 깊이 알고 싶었고 마침 베타리더 모집 공고를 보고 참여하게 되었다.

 


[진행과정]

원고에 피드백 → 이메일 제출 → 추천사 작성

피드백을 작성할 때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막막했다.

다른 참여자분들은 구글드라이브를 활용해 피드백을 남기셨다.

주제와 키워드 별로 피드백을 전달하거나 (ex. 내용부족, 오탈자, 주석 번역 필요 등)

어떻게 수정하면 좋을지 구체적인 의견을 남기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유롭게 진행되었다.

이를 참고해서 나도 책을 읽으며 가독성, 이해도, 코드 실행 가능 여부, 용어 선택신입 개발자의 관점에서 피드백을 남겼다.

베타리딩이 끝난 후 추천사를 작성하였다.


[한빛 미디어 베타리딩 후기]

10일간의 베타리딩을 끝내고 pdf를 한빛미디어에 전달하였다.

베타리딩을 끝내고 아쉬웠던 점은 원고 pdf에 목차가 없어서 아쉬웠다.

목차를 봐야 책의 전반적인 흐름을 알 수 있을 텐데 목차가 없어서 진행할 때 조금 답답했다.

아마 베타리딩 원고라서 목차 부분이 제외된 것 같다.

 

나는 기초가 탄탄해야 기술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기초를 다지는 과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책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독자에게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책을 보면서 추가 검색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게 책의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베타리딩을 하면서 중간중간 익숙하지 않은 용어나 개념이 나와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입문자에게는 조금 어려운 책이 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의 추천사]

신입 프론트엔드 개발자인 저에게는 조금 어렵게 느껴졌지만, 실무에 꼭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 매우 유익했습니다.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구조와 관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이 책을 통해 패턴이 안정적인 프로젝트 유지의 핵심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질적인 예제와 접근법으로 실무에 필요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어 리액트를 공부하거나 실무를 준비 중인 분들께 추천드립니다.

 


[책 리뷰]

저는 보면서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이 책을 통해 초보자가 디자인 패턴에 입문하기에는 난이도가 있다고 느껴졌습니다.

어느 정도 실무 경험이 있어야지 이해하기가 쉬울 거 같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 관리를 효과적으로 하고 싶다면 유용한 책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지난날에는 프로젝트의 구조와 디자인 패턴의 중요성을 알지 못했습니다.

코드의 구조와 설계가 시스템의 유지 보수와 확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무에서 직접 경험하며 디자인 패턴을 통해 더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습니다.

입사하기 전에 디자인 패턴의 중요성을 충분히 이해했었더라면 실무에서 적응이 훨씬 빨랐을 것 같다.

그래서 회사 입사를 앞두고 있는 분들께 이 책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잘못된 정보는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과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더보기

[ 참고자료 ]

 

 

 

 

728x90
반응형

'T-LOG > ㄱ-L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ㄱ-LOG] 2024 회고록  (2) 2024.12.3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