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롭게 현명하게
[Python] 파이썬 숫자 연산 본문
목차
정수 계산
값을 정수로 만들기
객체의 자료형 알아내기
몫과 나머지 함께 구하기
실수 계산
값을 실수로 만들기
파이썬에서는 숫자의 자료형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숫자를 정확하게 구분해야한다.
[정수 계산]
정수 + 정수 = 정수
정수 - 정수 = 정수
정수 * 정수 = 정수
정수 / 정수 = 실수
# 파이썬 2 : 정수끼리 나눗셈 결과는 정수
# 파이썬3 : 정수끼리 나눗셈은 실수가 나온다.
# 완전히 떨어져도 실수가 나온다.
정수 // 정수 = 정수
# 파이썬3에서 정수끼리 나눗셈 겨로가가 정수로 나오도록하려면 //로 나눗셈을 해야한다.
# //은 버림 나눗셈(floor division)이라고 부르며 나눗셈의 결과에서 소수점 이하는 버린다.
# 실수에 // 연산자를 사용하면 결과는 실수가 나오면 소수점 이하는 버려진다.
# 따라서 결과는 항상 .0 으로 끝난다.
정수 % 정수 = 정수
# 이때 몫은 버림 나눗셈 (//)으로 구할 수 있다.
정수 ** 정수 = 정수
# 거듭제곱
[값을 정수로 만들기]
계산 결과가 실수로 나왔을 때 강제로 정수로 만들려면 int에 괄호를 붙여 숫자 또는 계산식을 넣는다.
- int(숫자)
- int(계산식)
- int(문자열)
이때 문자열은 정수로된 문자열만 가능하다.
print(int(3.14)) # 3
print(int(3.14+24)) # 27
print(int('3.141592'))# ValueError
print(int('334')) # 334
[객체의 자료형 알아내기]
- type(값)
객체의 타입(자료형)을 알아내는 함수로 type을 사용한다.
print(type(10)) # <class 'int'>
print(type(3.14)) # <class 'float'>
print(type('문자열')) # <class 'str'>
type(10)는 <class 'int'> 라고 나타난다.
파이썬에서는 숫자도 객체이며 객체는 클래스로 표현한다.
type(int(3.14))는 실수 3.14를 int 클래스로 된 객체로 만든다는 것이다.
[몫과 나머지 함께 구하기]
- divmod(x,y)
두 숫자를 인자로 전달받아 x를 y로 나눈 몫과 나머지를 tuple 형식으로 반환한다.
x : 복소수(complex)가 아닌 숫자
y : 복소수(complex)가 아닌 숫자
return 값 : 몫과 나머지를 tuple로 반환
quotient, remainder = divmod(5, 2)
print(quotient, remainder)
# 결과 : 2 1
튜플은 변수 여러개에 저장할 수 있는데 divmod의 결과가 튜플로 나오므로 나머지 변수 두 개에 저장할 수 있다.
[실수 계산]
실수 + 실수 = 실수
실수 - 실수 = 실수
실수 * 실수 = 실수
실수 / 실수 = 실수
실수 + 정수 = 실수
실수 - 정수 = 실수
실수 * 정수 = 실수
실수 / 정수 = 실수
print(3.14+3.14) # 6.28
print(3.14-3.14) # 0.0
print(3.14*3.14) # 9.8596
print(3.14/3.14) # 1.0
print(3.14//3.14) # 1.0
print(3.14%3.14) # 0.0
print(3.14+3) # 6.140000000000001
print(3.14-3) # 0.14000000000000012
print(3.14*3) # 9.42
print(3.14/3) # 1.0466666666666666
print(3.14//3) # 1.0
print(3.14%3) # 0.14000000000000012
[값을 실수로 만들기]
- float(숫자)
- float(계산식)
- float('문자열')
숫자 또는 계산 결과를 실수로 만들어준다.
이때 문자열은 실수 또는 정수로된 문자열이여야한다.
print(float(5)) # 5.0
print(float(1+2)) # 3.0
print(float('5.3')) # 5.3
print(type(3.5)) # <class 'float'>
print(complex(1.2,1.3)) # (1.2+1.3j)
float는 부동소수점(floating point)에서 따왔으며 값을 실수로 만들어 준다.
그러므로 실수는 float 자료형이며 type에 실수를 넣으면 <class 'float'>가 나타난다.
파이썬에서는 실수부와 허수부로 이루어진 복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허수부는 숫자 뒤에 j를 붙인다.
수학에서는 허수를 i 로 표현하지만 공학에서는 j로 표현한다.
잘못된 정보는 댓글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과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 참고자료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문자열 (0) | 2023.02.28 |
---|---|
[Python] 숫자형 (0) | 2023.02.27 |
[Python] 파이썬 연산자 (0) | 2023.02.23 |
[Python] 파이썬 기본 문법 (0) | 2023.02.22 |
[Python] 파이참 설치하기 (0) | 2023.02.21 |